TL;DR
블록체인 지갑은 각기 다른 방식과 기능을 갖추고 있어 게임 별 상황에 맞게 명확한 기준을 통한 의사 결정이 필요하다.
의사 결정 기준은 1)유저 친화적 환경, 2)기능적 요소, 3)개발 편의성, 4)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5)비용구조, 및 6) 브랜드 및 레퍼런스 등 크게 6가지로 분류된다.
프로젝트 리더는 출시할 게임의 성격과 전략에 따라 의사 결정 기준의 각 항목을 우선시하여 블록체인 지갑 의사 결정을 구조화하여야 한다.
들어가며
앞선 2편에서 말한 것 같이 대형 게임사는 자체 토큰 생태계 확장을 위하여 거래 기능을 앞세운 블록체인 지갑을 출시하였으며, 블록체인 네이티브 기업은 SaaS 형태와 같이 최대한 범용적인 메인넷을 지원하며 인앱/인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지갑을 출시하였다. 해당 블록체인 지갑들은 서로 각기 다른 방식과 기능을 갖고 있으며, 심지어 같은 기능임에도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황 속 블록체인 지갑 도입을 원하는 게임사는 “어떤 블록체인 지갑을 도입해야하는가? 라는 중대한 의사 결정 기로에 선다. 이번 3편에서는 게임사를 중심으로 어떠한 기준을 갖고 블록체인 지갑을 선택해야할지 의사 결정 기준 (Decision Criteria)을 제시할 것이다.
해당 의사 결정 기준을 참고하면 블록체인 지갑 결정 프로세스에 대한 합리적이며, 명확한 의사 결정 구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의사 결정 기준 활용 프로세스
위 프로세스처럼 각 게임사는 출시할 게임의 현황에 따라 중요한 항목을 식별하고 각 항목별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해 적절한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 현황을 정확하게 확인하지 않는다면 잘못된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어, 적절하지 않은 블록체인 지갑을 선정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 결정 기준을 활용하기 전 각 게임사는 출시할 게임의 목표, 투입된 리소스 등 정확한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
목표
P2E와 같은 토큰중심의 게임, 아이템 혹은 캐릭터만 단순히 NFT로 제공하는 게임, 모든 액션을 온체인에 올린 게임 등 블록체인 게임은 종류는 다양하고 날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게임 종류에 따라 필요한 지갑의 요구사항은 각기 다르며, 이에 따라 게임사는 출시할 블록체인 게임의 성격에 맞게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우선 순위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리소스
리소스는 크게 인적, 재정, 기술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기본적으로 투입된 인적 리소스의 수에 따라 블록체인 기능의 범위가 상이할 것이며, 이에 따라 지갑의 요구사항도 다를 것이다. 또한 인적 리소스가 제한된다면 지갑을 제공하는 회사의 개발 지원 여부 또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재정 리소스의 경우 지갑 연동에 필요한 비용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예.유동성 확보 등). 따라서 해당 블록체인 게임에 투입된 재정 리소스를 사전에 확인하고 지불 가능한 비용을 확인하는 과정 역시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는 기술 리소스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기존 게임 개발 기술과는 상이한 요소로, 투입된 개발 인력들의 블록체인 기술 보유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도입할 블록체인 지갑 연동 방식이 투입된 개발 인력들에게 용이한 방식인지 혹은 지원하는 문서가 친절한지 등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의사 결정 기준
의사 결정 기준은 숫자 혹은 유무, 등급으로 표시할 수 있어야한다. 그럼에도 각 항목에 대한 평가는 주관적일 수 있기에 주요 인력 다수가 참여하여 합의된 결정을 도출해야한다.
아래 표는 공유된 링크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각 회사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참고가 가능하다. 블록체인 지갑은 하루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이기에 현재의 의사 결정 기준이 미래에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