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L;DR
게임사에서 출시한 블록체인 지갑 서비스는 자체 게임사 생태계 발전을 위한 자체 토큰중심의 거래 기능에 집중하고 있으며, 주로 게임 외부에서 구동되는 형태이다.
블록체인 네이티브 기업에서 만든 블록체인 지갑 서비스는 중소게임사들의 인앱/인게임 지갑 시장을 타겟하고 있으며, SaaS 서비스와 와 유사하게 최대한 범용적인 환경을 지원하고 있다.
대다수의 지갑서비스는 기본적으로 non-custodial 한 형태로 Fungible Token 및 NFT를 지원하며, Social login 기능을 갖추고 있다. 아울러, 지갑 내 Defi 기능을 고도화함으로서 게임 사업 외 신규 사업 개발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향후 블록체인 지갑 시장에서 2-3개의 글로벌 플랫폼만이 살아남을지, 혹은 각 지갑의 산업/용도별 승자 (Vertical Winner) 또는 지역별 승자 (Regional Winner)가 별도로 존재 및 공존 할지 지켜봐야 할 것이다.
들어가며
2020년 DeFi, 21년 NFT가 블록체인 써머를 주도하며, 해당 토큰을 보관 및 전송하기 위한 블록체인 지갑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글로벌 시장 점유율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메타마스크 지갑은 월 사용자 3,000만명을 달성하였으며, 중앙화된거래소, 게임사, 크립토 개발사 등에서 서비스를 출시하기 시작하였다.
시간이 지나며 블록체인 지갑의 불편한 사용성 및 기능에 대한 불만이 나오기 시작했으며 단순히 토큰을 보관, 전송하는 기능을 넘어 각 서비스 영역에 특화된 기능이 포함된 지갑들이 출시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영역 중 하나가 바로 블록체인 게임 분야이며, 각 게임사를 중심으로 지갑을 포함한 블록체임 게임 플랫폼이 출시되기 시작했다.
이번 한국의 블록체인 지갑 시리즈 2편에서는 한국의 블록체인 게임 시장 전반을 다룬 1편에 이어, 주요 블록체인 게임의 지갑 기능을 분석하여 각 게임사별 뷰를 제시할 것이다.
주요 블록체인 지갑 기능 분석
앞선 1편에서 살펴본 게임사 중 위메이드를 포함한 4개의 게임사에서 자체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플랫폼 내 서비스 중 하나로 블록체인 지갑을 포함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블록체인 게임을 자체 플랫폼에 온보딩시킨 뒤, 해당 게임에 지갑을 연결시켜 지갑 내에서 게임 토큰과 자체 토큰의 스왑 등의 거래를 목표로 한다.
위와 같이 게임사에서 출시한 블록체인 지갑은 개별 게임사 IP 및 자체 토큰(Governance Token) 확장을 위한 1) 가상자산의 보관 및 거래, 2) NFT자산의 보관 및 거래 (인게임아이템), 및 3) 주요 외부 서비스와의 연결을 그 중심으로 하고 있다. 아울러, 다양한 Trading 기능을 고도화하고 있는 점은, 게임 외 Defi 분야 매출확장을 위한 전략이라고 예상된다. 해당 기능들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게임 서비스에 지갑을 연결하여 서비스 외부, 즉 지갑에서 거래를 실행해야한다. 이는 현재와 같이 여러 거래 기능에 집중한 지갑 형태로 나아가는 결과를 만들었으며, 계속해서 다양한 거래 기능이 추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국내 법규 발전과 연계하여 Fiat & Crypto On/Off Ramp, NFT 전자결제 등의 사용자 친화적인 기능들을 기대해볼 수 있다.
게임사는 자체 IP가 있으며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는 자본력과 인력이 있으나, 게임사가 아닌 일반 블록체인 네이티브 기업은 위와 같이 외부에서 거래를 지원하는 형태의 지갑을 만들기에는 자체 IP 및 생태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형태는 범용적인 tool로 자리잡으려는 Enterprise SaaS 서비스와 유사하다. 이에 일반 블록체인 네이티브 기업은 자체 토큰에 집중하는 사업 전략이 아닌, 사용자 편리성을 고려해 서비스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인앱 지갑 형태를 출시하고 있으며, AAA 게임사가 아닌 중소 게임사 및 Crypto Native 게임사들을 대상으로 확장 활동을 벌이고 있다.
해치랩스에서 출시한 Face Wallet은 현재 글로벌 메인넷 Polygon, BNB CHAIN, SOLANA, NEAR, AVALANCHE 총 5개사의 공식 지갑으로 선정되었으며 FT의 기본적인 Swap과 Bridge 기능 및 NFT의 전송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Staking 등 다양한 DeFi 기능은 확인할 수 없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체인 연결을 지원해 개발 범용성을 넓히는 노력 중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콜드월렛인 디센트 지갑으로 유명한 아이오트러스트에서도 22년 후반 Wepin 인앱 지갑을 출시했으나 현재 자세한 내용은 확인할 수 없다. Wepin은 20개 체인 지원 및 DeFi, DEX, DAO 등 현재까지 가장 넓은 범위의 기능을 지원한다고 밝혔는데 기존 디센트 지갑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에 현실성있는 기능 범위가 아닐까 싶다.
동일 기능 비교 분석
기본 메인 화면
일반적으로 게임사에서 출시한 블록체인 지갑은 사용자가 보유한 생태계 내 FT 리스트를 보여주는 화면 구성이다. 자체 생태계 구축에 중점을 둔 전략이라 살펴볼 수 있다.
예외적으로로네오위즈에서 출시한 Intella X Wallet은 온보딩된 게임을 홈에서 보여주는 구성이며, in-game economy보다 game 자체에 중점을 둔 전략이라 볼 수 있다. 어느 구성이 옳다고 할 수 없지만, 온보딩된 게임으로 유기적인 연결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Intella X Wallet의 구성에 장점이 있다.
로그인
메타마스크 지갑 역시 패스워드를 통한 로그인을 지원하지만 계정 복구를 위한 시드 구문을 별도로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소셜 로그인을 지원하지 않는 XPLA Vault를 제외하고, 위메이드의 플레이 월렛을 비롯하여 대다수의 지갑은 시드 구문을 별도로 제공지않는데 이는 대중들의 쉬운 온보딩을 고려한 것이라 생각된다.
지원 네트워크
게임사에서 출시한 블록체인 지갑은 자체토큰을 중심으로 체인을 지원하고 있으나 블록체인 네이티브 기업에서 출시한 인앱 지갑은 최대한 많은 체인을 지원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게임사는 자체토큰의 가치를 부양시키기 위한 전략을 펼치고 있으며, 인앱 지갑은 최대한 많은 고객사의 니즈를 맞추기 위해 멀티체인 전략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게임사들 역시 순차적으로 멀티체인 전략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넷마블게임즈의 MARBLEX 팀은 쟁글 파운데이션 위크에서 BNB Chain 지원을 밝히며 앞으로 더 많은 체인을 지원하는 멀티체인 전략, MBX3.0을 발표했다. 하나의 체인에 종속되어 발생하는 이슈에서 벗어나며 사용자 친화적 환경을 마련해 더 많은 게임을 온보딩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앞으로 게임사들 역시 더 많은 체인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차별점 상세 분석
Play Wallet(REPLECT, DEX)
Play Wallet은 위 그림과 같이 FT의 거래 기능들을 GameFi라는 하나의 탭에서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일반적인 SWAP 방식뿐만 아니라 DEX, REFLECT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는데 여타 서비스에서 찾아볼 수 없는 기능들이다. DeFI 고도화에서는 가장 앞선 플랫폼이라 판단한다.
DEX는 서비스 내 재화로 사용되는 pWEMIX로 등록된 여러 토큰을 구매할 수 있는데 원하는 토큰을 시세에 따라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오더북 방식에 유동성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아직 원활하게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REFLECT는 WEMIX PLAY 생태계 안에서 REFLECT Alliance 멤버로 검증된 특정 게임 토큰들을 일정 비율에 맞춰 락업시켜 생성할 수 있는 합성 토큰을 칭한다. 해당 합성 토큰은 WEMIX PLAY 생태계 안에서 1) 게임 토큰 락업 2) 소각 3) 신규 게임 온보딩 등 토큰의 거래량에 촉매제 역할을 수행한다. 먼저, 유저가 일정 비율의 게임 토큰을 락업시켜야 합성 토큰을 얻을 수 있기에 락업 효과를 거둘 수 있. 또한 유저가 합성한 REFLECT를 분해하여 다시 게임 토큰을 받을 때 5%의 토큰이 소각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방지하는 소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마지막으로 REFLECT를 갖고 있는 유저는 새롭게 Alliance에 합류한 게임의 토큰을 에어드랍받을 수 있어, 신규 게임 온보딩 시 해당 생태계를 이용 중인 유저를 쉽게 유치할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다.
XPLA(GOV)
XPLA는 여타 서비스와 다르게 XPLA Chain에 참여할 수 있는 거버넌스 체계를 블록체인 지갑 내에 도입했다. 10 XPLA를 예치한 뒤 유저는 제안을 할 수 있으며, 7일 내 일정 기준을 달성할 시 프로토콜 자체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기능이다. 하나의 탭을 할애했다는 것은 메인 기능으로 활용한다는 것인데, 게임을 즐기는 유저들이 쉽게 쓸 수 있는 기능인지 의문점이 남는다.
마치며
아직까지 블록체인 지갑 시장은 초창기 시장이다. 게임사에서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을 공격적으로 발표하며, 블록체인 지갑을 출시했으나 아직까지 일반 유저들이 쉽게 진입할 수 있는 접점은 찾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아직까지 게임을 즐기는 일반 유저들에게는 해당 지갑을 게임 외부에서 설치하고 이용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탓이다. 이에 역설적이게도 블록체인 네이티브한 해치랩스, 아이오트러스트에서는 네이티브 유저가 아닌 일반 유저의 편의성을 고려한 인앱 지갑 시장을 노리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기업에서 인앱 지갑 시장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블록체인 지갑 시장의 경쟁 흐름은 기존 웹2 시장의 흐름과 크게 다르지 않다. 앱스토어 등 초창기 웹2 시장 역시 수많은 서비스와 표준이 난무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웹2 시장에 소수의 서비스만 남아 막대한 점유율을 보이는 것과 같이, 블록체인 지갑 시장 또한 소수의 지갑만이 남아 독점적 플랫폼으로 남을 것인지 혹은 각 지갑의 특색별 승자 (Vertical Winner) 또는 지역별 승자 (Regional Winner)와 공생하는 형태가 될지 지켜봐야 할 것이다.